-
반응형
불안한 시대의 청년 위기 코로나 시대 극복할 수 있는 방법
우리는 다양한 세대에 공존하고 있습니다. 아버지 세대와 MZ세대의 차이는 그렇게 큰 문제라고 볼 수 없다고 볼 수 없는데요. 그 이유는 여전히 전통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아직 중년에 접어들지 않은 시기의 세대라면 사업적으로 최고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세대가 30대 전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식재산권 사용료, 개인 IP 등에 내용을 접하면 우리는 별로 생소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도시 중심을 벗어나 시골로 갈수록 그에 대한 정보는 그만큼 줄어들기 마련이죠. 도시에서 벗어날수록 정보력에서 낮아지기 마련입니다. 이것이 바로 중년들의 위기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지금 말하고 있는 중년들의 위기는 연봉이 적고, 집이 작거나, 승진을 못하는 등의 생존 위기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고방식의 문제인 거시적인 위기를 말하는 것인데요. 시대에 변화에 무디고 신흥 업종이나 새로운 기술에도 별 다른 관심이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지금은 급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내가 천천히 가고 싶어도 세상은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고, 느리게 가자고 주장하는 사람을 무참히 짓밟힐 수도 있는 것이죠. 반면에 조류에 따라 기술 혁신이란 물살에 몸을 싣는 새로운 시대로 가는 사람들에게는 꽤 괜찮은 삶을 살아갈 것입니다.
대도시에 사는 사람일수록 더 불안하고 위기의식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대도시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보너스라고 할 수도 있죠. 우리는 다른 작은 마을이나 시골에 비해 더 영민하고 빠르며, 더 효율적인 기회를 많이 잡아 더 멋진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도착'할 수 없고, 다만 '도착지'를 향해 부단히 나아가야 합니다. 평생 배운다는 말은 남들에게 우월해 보이려는 모습이 아닙니다. 신기술과 새로운 업종이 기존 것들이 대체되고 그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돈과 시간을 투자해야 따라갈 수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공무원 퇴사자들이 늘어나는 이유, 2030의 이야기 (6) 2022.03.22 문재인 대통령 김정숙여사와 함께 무궁화대훈장 셀프 수여 총 제작비 1억 3600만 (3) 2022.03.15 대학생들의 필수가 되어버린 _ 취업 준비 준비생 (0) 2022.02.21 직장인 투잡 / 나만의 주제를 정하는 방법 (나만의 키워드 만들기) (0) 2022.02.18 N잡, 투잡, 부업 열풍 그 다음은 무엇이 올까? (1)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