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직장인 투잡 / 나만의 주제를 정하는 방법 (나만의 키워드 만들기)
많은 분들이 나는 어떤 주제로 나를 발전시켜야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나의 주제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 주제를 누가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하면 틈새를 찾을 수 있는지도 설명해 보겠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보자
너무 당연한 이야기 인가요? 여러분들이 집필을 하고 연구를 해야 한다고 해야 하면 집요하게 파고들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내가 흥미 없는 주제라면 그 시간이 너무 고통스럽습니다.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주제는 무엇인지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종이에 적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자주 사는 책들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책은 글쓰기를 할 때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잘 때도 생각하는 분야의 책을 다양하게 읽어보고 아이디어도 다양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남들이 나에게 자주 묻는 것을 확인해보자
혹시 지인으로부터 너 이거 정말 잘한다. 000잘 안되는데 어떻게 하는지 알아? 000 잘 안되는데 도와줄 수 있어? 이런 식으로 도움 요청이나 질문을 받아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것이 곳 내가 그 분야를 잘 안다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상대방에게 질문을 받았던 것이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도움을 요청받았다는 것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시장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주제로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내가 만약 3개월안에 죽는다면 무엇을 하고 싶은가?
극단적이지만 이런 것을 상상해 보는 것도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더 이상 사회가 원하는 일이 아닌 평소에 동경하던 그 일을 해보려고 할 것입니다. 저는 누구나 그런 건 하나쯤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정말 즐겁게 그 분야를 탐구할 수 있는데 그런 즐거움과 벅참이 있어야 그 분야를 집요하게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주제를 연구하는데 너무 고통스럽고 힘들다고 하면 어쩌면 그 주제가 당신과 잘 맞지 않는 분야일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 서점을 탐색한다.
주제는 어떤 분야를 다룰 것인가? 재테크면 재태크 독서법이면 독서법. 세분화된 카테고리를 탐색하면서 내가 어떤 분야에 들어가는 게 좋을까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대형 서점의 카테고리를 보면 세부 키워드별로 주제가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하나하나 제거해 보면서 나한테 맞는 카테고리를 좁혀가면서 남는 것들이 나에게 맞는 분야일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정리할 때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에 하나가 어떠한 틀이 없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막연하게 이것저것 막 생각이 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도저히 답이 나오지 못할 때가 많은 것입니다.
원하는 분야를 찾았는데 그곳에 넘사벽의 사람이 이미 존재한다면?
역시 레드오션이구나, 내가 갈 곳이 없구나라고 생각하면서 포기하실 건가요? 그럴 때는 포기하지 않고 차별화된 시장을 찾는 것입니다. 고객을 세분화 시키는 것입니다. 만약에 여러분이 말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스피치 강의를 하고 싶다고 강의를 해보겠습니다. 그러나 스피치 강의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것입니다. 그럴때는 세부적으로 파 해쳐 보는 것입니다. 목이 잘 쉬어서 효율적인 발성을 원하는 사람이나 발음이 좋지 않아서 발음 교정을 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을 하는 것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남들보다 더 잘하는 것보다 남들이 안 하는 것을 하는 것이 훨씬 쉽습니다. 내가 정한 시장을 먼저 만족을 시켜 놓으면 나중에 좀 더 넓은 시장으로 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도전을 해도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타격이 크지 않게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작은 것부터 하나씩 도전해보고 부딪히면서 성장하는 것입니다. 처음부터 잘 할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내가 잘 하는 분야도 마찬가지 일 수 있습니다. 평범하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것이 두려운 사람일 수록 좀더 나의 방향성에 귀 기울이고, 작은것부터 실천하다 보면 나만의 주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봅니다.
반응형'사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공무원 퇴사자들이 늘어나는 이유, 2030의 이야기 (6) 2022.03.22 문재인 대통령 김정숙여사와 함께 무궁화대훈장 셀프 수여 총 제작비 1억 3600만 (3) 2022.03.15 불안한 시대의 청년위기 코로나시대 극복할 수 있는 방법 (3) 2022.03.14 대학생들의 필수가 되어버린 _ 취업 준비 준비생 (0) 2022.02.21 N잡, 투잡, 부업 열풍 그 다음은 무엇이 올까? (1)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