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유아기 때 아이들 공부시키는 방법 / 오은영 박사의 육아 학습법
유아기 학습법 서울시에서 조사한 결과 아이가 공부를 하는 첫 나이가 평균 33개월이라고 합니다. 빨리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평균이라는 것입니다. 영유아 자녀를 둔 학부모들 중에 93%가 공부를 하고 있다는 수치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이를 가르쳐야 하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아이들마다 발달에 약간 속도가 다르고,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기질적 특성도 다르고,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이런 부분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론적인 접근, 어떤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라는 것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적용이 될 때는 특성을 고려해서 유연성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유아기 공부는 공부로 모든 밑면에 깔려있는 문제들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녀관계 문제도 나올 수 있고, 대화법이 문제로 나올 수도 있죠. 유아기의 관계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아기 공부법 잘 놀아라
놀이를 할 때 진도가 있고, 평가의 과정이 있다면 이것은 놀이가 아닙니다. 엄마들은 놀이의 진도를 생각하며 아이와 논다고 합니다. 아이와는 정서적 교감을 하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한 번에 하나의 목표
공부의 과정에서는 절대 욕심을 내서는 안되고 특히 유아기(초등 저학년) 때는 한 번에 학습목표를 하나만 정하라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집중하지 않고 가지치기를 하는 것입니다. 유아기 때 지나친 학습은 오히려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할 때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기회를 주어라
안 되는 건 안된다고 자신감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기회를 안주는 안되인 것입니다. 무조건 안되를 외치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문제행동을 고치는 기회를 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가치관을 가져라
아이가 공부를 하는 목적을 잊지 않도록 부모가 일관된 자세로 목적을 세우는 것입니다.
유아기 공부법 마무리
영유아 때는 무엇보다 아이의 정서가 안정되도록 돕는 것이 모든 성장의 근본이 됩니다. 그렇게 한다면 육아의 부담이 좀 더 덜어질 수 있겠고요. 아이가 똑똑하게 컸으면 하는 것도 부모의 욕심입니다. 불안감이 투영된 모습이 아이에게 강압적인 모습을 만들어 강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인성과 도덕성이 좋은 아이를 만들 수 있고 배려할 줄 아는 아이로 키우는 것이 좋은 아이로 키우는 비결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은영 박사님의 육아 교육법 또한 많은 분들의 귀감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력을 저해하는 원칙주의 육아법 (향상시키는 방법) / 일관성과 유연성 (2) 2022.03.03 언어발달 교육 - 우리아이 말이 너무 늦는 이유 / 코로나 때문에? (1) 2022.03.03 우리아이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봐요 (문제점, 해결방법) (1) 2022.03.03 아이의 언어발달 교육법 (유의할 점) / 과묵한 가정, 비난하는 말버릇 (1) 2022.03.02 정리정돈 잘 못하는 아이와 함께 청소하는 방법 (오은영 박사) (3) 2022.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