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소화 안될 때 먹는 음식 / 뿌리식물
나무의 형태가 다양하듯이 채소의 형태는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상추는 뿌리가 깊지 않은데 위에 올라오는 이파리는 계속 자라며, 배추 역시 풍성한 포기 형태로 자라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런 다양한 식물들 중에서 소화가 되지 않을 때 먹으면 좋은 뿌리식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뿌리식물 무
뿌리채소의 대표는 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줄기와 잎은 아주 작지만 뿌리는 아주 두껍죠. 너무 두꺼워서 땅 밖으로 살짝 나오기까지 합니다. 이런 무는 어떤 약효를 가지고 있을까요?
무는 기운을 내려보낸다
무의 핵심은 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의 잎의 역할은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영양분을 뿌리로 내려보내는 방법으로 자라납니다. 뿌리 자체는 흙보다 무거워야 흙을 파고 땅 속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무의 뿌리는 매우 굵기 때문에 일반 뿌리보다 더 무겁습니다. 그래서 무는 가라앉는 약성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밥 먹고 소화 안될 때
보통 집에서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동치미 국물을 먹곤 합니다.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방식이긴 하지만, 과학적으로 일리가 있는 식재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장면과 단무지를 같이 먹는 것도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며, 치킨과 무를 같이 먹는 이유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소화를 돕는 야채 그밖에 소화를 도와주는 식재료
순무, 콜라비, 당근, 토란 등도 소화를 도와주는 식재료입니다. 무와 비슷하게 뿌리가 집중적으로 커지는 채소들도 소화시키고 채기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십자화 식물의 특징
순무와 무는 십자화 식물로 매운맛이 나며 이것이 소화를 시켜준다고 합니다. 같은 효과로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뱃속에 노폐물을 몰아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응형'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마다 복통과 설사가 있다면? 과민성 대장증후군 의심 (3) 2022.03.07 화상의 초기 대처법 / 화상의 종류 / 치료용 반창고 : 듀오덤, 메디폼 (7) 2022.03.03 왼쪽, 오른쪽 옆구리 통증이 생기는 이유 (0) 2022.02.26 상처가 잘 아물지 않을때 좋은 음식/식재료 (3) 2022.02.25 체했을 때 좋은 음식 / 새싹의 효능 (1) 202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