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일반인과 명확히 구분되는 사이코패스의 특징과 패턴
psychopath
사이코패스(Psychopath)는 반복적인 반 사회적 행동과 공감 및 죄책감의 결여, 충동성과 자기중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성격 장애입니다.
이런 사이코패스는 일상적인 생활도 어렵지만, 어릴 적 이런 성향을 가지고 있어도 훈련과 연습으로 극복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사이코패스는 어떤 문제점들 때문에 일반인과 구분되며, 사이코패스 그들만의 특징과 패턴을 통해 다른 점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강호순 사건
강호순의 농장과 식당을 뒤져서 검거하였을 때 사진을 하나 발견했다고 합니다. 저 사진을 왜 걸어두었을까 물어보았는데 강호순은 이렇게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너무 따뜻해 보이잖아요'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실제로는 잡아먹었다고 합니다. 경악스러운 비상식적인 행동인데요. 강호순 그는 공감능력이 없기 때문에 반려동물을 키울 수 없습니다. 공감능력을 키우려면 감정이 있어야 하는데요. 그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동물들은 얼굴 표정을 본다고 합니다. 기계 같은 인간은 표정이 없는 것입니다. 로봇처럼 말이죠. 보통 반려동물을 키울 때 주인의 눈을 보며 교감을 합니다. 교감을 하지 못하니까 사이코패스들은 동물을 키우지 못하는 것입니다.
강호순 - 살인사건 - 사진 사이코패스의 특징
- 자기중심적 사고
- 1차원적인 강한 자극 추구
- 상습적인 일탈
[자기중심적 사고]
자기밖에 모릅니다. 주변에서 사람이 죽어도 다른 사람의 고통은 공감하지 못합니다. 오히려 내 손끝에 칼이 살짝 베이면 그걸로 응급실로 달려가며 그것이 더 고통스러운 것이죠. 자신만의 고통이 중요한 것입니다. 옆에 사람이 죽어가도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며 극단적인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유영철 살인사건 &인천 연수구 초등학생 살인사건
연쇄살인 유영철 같은 경우도 많은 사람을 죽여도 끝까지 부인했다고 합니다. '나한테 죽은 여자들이 몸 간수를 못해서 죽인 거다'라고 말하는 뻔뻔함까지 보이고 있죠.
인천 연수구 초등학생 살인사건에서는 17세 김양은 구치소에서 한 말이 있습니다. 뭐가 가장 힘든가요라고 물어봤는데 '날씨가 좋은데 벚꽃을 보러 가지 못하는 게 힘들어요.' 자신을 방해하는 자는 용서할 수 없다는 것이 사이코패스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죠.
유영철 살인사건 - 유영철 [강한 자극 추구]
시각적인 부분과 촉각, 청각의 자극을 말하는데요. 인문학적 지적 정서적 자극에는 무덤덤하며 극단적인 자극만을 추구하는데요.
연쇄살인범의 살해 방식이 잔인한 것은 죽어가는 장면을 보려고 하는 시각적인 욕구와 죽어가는 비명소리의 청각 욕구, 시체를 만지면서 느끼는 차가움을 느끼고자 반복적으로 하는 패턴을 보인다고 합니다.
프로파일러들은 이걸 거꾸로 이용을 합니다. 자극의 선호도를 찾아 추리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상습적인 일탈]
사이코패스들이 어렸을 때는 잘 나타나지 않다가 청소년기에 나온다는 오해가 있는데요. 7~8살쯤에 어린 사이코패스의 경우 간판을 뻥 찹니다.
'왜 이게 내 앞에 있는 거야?'라는 생각과 함께 감정 컨트롤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가게 주인에게 혼이 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더 큰 발전을 합니다. 멀리서 돈을 던지거나 비비탄 총으로 쏘거나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거죠.
사소한 범죄를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그래도 된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만족을 얻고 그 경험을 통해서 머릿속에 뇌구조가 바뀌어가고 변화하며 진화됩니다.
혹시 이 글을 보고 자신의 성향과 비슷하다는 생각에 본인이 사이코패스인지 걱정되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사이코패스는 그런 걱정을 하지 않습니다.
그밖에 다양한 글을 보고 싶으시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심리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자에게 강한 나르시시스트들의 가스라이팅 방법 (3) 2022.03.29 성격장애 유형 사이코패스, 나르시시스트 특징과 차이점 (8) 2022.03.25 알아두어야 할 <사이코패스>의 범죄 및 사회적 특징 심리학 분석 (14) 2022.03.17 개인을 무시하는 대한민국의 문화 , 혼자 있는것이 스트레스받는 이유 (5) 2022.02.24 나르시시스트들에게 고통받는 에코이스트(Echoist)의 특징 (4)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