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2. 18.

    by. 리플랜

    반응형

    속 쓰림과 복통 명치가 아프다면  위암인가요?

    변 색을 자주 확인하신가요? 증상이 있으면 병원에 가야지라고 한다면 이미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위암의 증상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 있는 데로 속 쓰림, 속이 더부룩하다, 배가 아프다, 명치가 불편하다 같은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거의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위암은 병원에서 검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위궤양이나 역류성 식도염과같은 질병으로 비슷하게 취급되어서 넘어가는 경우도 많고, 위염약을 복용하면 치유되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어가 병을 키우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 바로 이런 것입니다.

     

    속쓰림 - 복통 - 명치통증 - 위암
    속스림 - 위암

    증상이 없어도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나요?

    요즘은 검진이 활성화되고 있어, 조기 위암이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증상이 없는 채로 오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증상을 가지고 위암을 진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소화성 궤양, 위염, 역류성 식도염 등등은 위암이랑 아주 비슷한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위암을 감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증상이 있으면 병원에 가야지라고 하면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무증상일 경우에도 꼭 검진을 받고 진단을 받아야 하겠습니다. 

     

    속이 더부룩하거나 속이 쓰리거나 한다면 병원을 찾아가서 제가 위암인가요?

    이런 증상이 나오면 병원을 찾아가서 제가 위암인가요?라고 물어보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속이 더부룩하다고 위암이 아닙니다. 좋은 방법은 한 명의 의사에게 추적관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가장 흔한 것은 위염입니다. 잘못된 음식이나 상한 음식을 먹을 때 나타나는데요. 보통은 2주 이내에 끝난다고 합니다. 그러나 2주 이상 지속이 된다고 하면 병원을 찾아가는 게 좋습니다. 내시경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것입니다.

     

    혈변이 나오면 위암인가요?

    혈변이라고 하는 것은 피가 대변에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위암 때문에 발생되는 혈변은 '흑색변'이라고 합니다. 위에서 출혈이 되고 장을 거치면서 소화가 됩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변 색은 검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변을 보고 변 색을 확인하고 짜장면처럼 까만색 변이 나온다고 한다면 한번 병원을 찾아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암의 증상 정리 

    위암의 증상은 대부분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만약 있다면 속 쓰림, 복통, 속이 더부룩하다, 소화가 잘 안 된다 라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내 병원이나 약국에 가서 2주 이상 지나 호전되지 않으면, 위 내시경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암 예방 방법 

    1. 음식으로 예방

    식생활에서 싱겁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소금은 위암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패한 음식이나 훈제음식, 구워서 태 운상태로 먹는 음식도 고 위험 음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검진

    발생 자체를 근원적으로 막는 것이 아닙니다. 발생한 위암을 빨리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행히 2년마다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귀찮더라도 위 내시경은 받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암이 위암이기 때문입니다. 초기에 발견되면 완치율은 90% 이지만 뒤늦게 발견하게 되면 항암치료와 생존율도 낮아지기 때문에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우리의 건강이란 것은 당장 급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40대 이하의 젊은 분들은 평균적으로는 그렇게 흔하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젊은 분들에게도 위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속 쓰림이나 소화불량이 2주 이상 지속된다고 하면 역시 내시경을 꼭 받아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반응형